본문 바로가기

중국 온라인쇼핑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 쇼핑을 말한다 27 기초 화장품, 누가누가 잘 파나 1위 EsteeLauder雅诗兰黛, 2위 MaryKay玫琳凯 2012년 2분기. 화장품 브랜드의 온라인 판매 현황을 살펴보자. 타오바오에서 화장품을 구분할 때, 크게 두가지로 나누는데 하나는 美容护肤/美体/精油 – 기초화장품 군이고, 하나는 彩妆/香水/美妆工具–색조화장품과 향수류로 나눈다. 색조화장품 군의 매출이 통상적으로 기초화장품 매출군의 1/4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2분기의 매출액을 보면, 5월달에 정점을 찍고, 6월에 12~13% 하강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기초화장품의 경우 2분기 매출 총액은 63억RMB(한화 약 1조2천6백억), 색조화장품의 매출총액은 16억위안(한화 약 3200억)로서 두 상품군을 합쳐 한 달에 한화 기준 5천억원은 너끈히 팔아치우는 규모..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 쇼핑을 말한다 26 한국인은 피부가 좋다? 한국 화장품과 한류 아주 평범한 피부를 가진 필자도, 중국인을 만나면 “한국인들은 피부가 좋다”는 말을 종종 듣는다. 이것이 그들의 편견인지, 정말 한국인들이 피부가 좋은지 정답을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분명한건, 여러 조사결과를 볼 때 “한국 연예인들은 피부가 좋다 = 한국 화장품”이라는 인지에 힘입어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이 사실이다. 한국 연예인들이 한국 화장품을 애용하는지는 잘 모르겠지만. 한류가 중국인들의 한국 상품 구매에 주는 영향 한류가 한국 상품 구입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83.6%가 조금있다 이상의 답을 했고, 크다 이상으로 답한 비율은 43.4%나 된다. 한류를 접한 이후 한국 상품을 구입한 경험은? 이라는 질문에 있다고 답한.. 더보기
[송중선 칼럼] 중국 온라인 쇼핑을 말한다25 헤어 관련 제품 온라인 판매 현황 중국 온라인에서 판매되는 화장품 중 1위는, 피부관련 제품 48%, 색조화장품이 22%, 그 다음을 잇는 것이 헤어관련 제품으로서 그 점유비는 17%나 된다. 태어나 아직 한번도 화장품을 사용해본 적이 없는 중국인도 많다고 하지만, 화장품 시장의 잠재력 뿐만 아니라, 헤어케어 제품의 매출 상승폭도 큰 추세다. 2011년 1년간 중국 온라인쇼핑에서 거래된 모발 관련 용품의 매출은 62.63억위안. 한화 기준 1.2조 기준이 온라인에서만 판매됐다. 샴푸, 린스, 헤어케어, 염색약, 모발 관리, 가발 등의 매출이 포함되어 있지만, 소비처가 점점 세분화, 고급화 되어가는 중국인들의 잠재력을 엿볼 수 있는 부분이다. 미용 제품을 쓸 때 고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은 1위 ..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 쇼핑을 말한다 24 현실적인 중국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실태 중국에서 온라인쇼핑 사업이 HOT! 한만큼, 변화가 굴곡도 심하다. 유사BM이 난무했고, 눈먼돈들은 투자됐으나, 점차 거품은 빠져가고 있는 추세다. 온라인쇼핑몰과 거래시 외형만 보지 말고, 그 회사의 상황과 상태를 잘 살펴본후 거래하는 것이 좋고, 대금 지불 등에 문제가 있다면 바로 거래를 중단하는 것이 좋다. 최근 문제로 언급되고 있는 쇼핑몰들을 한번 살펴보자. 이미 사망한 乐酷天(www.rakuten.cn) 중국 최대 포탈 바이두(百度)와 일본 최대의 쇼핑몰 라쿠텐의 결혼은, 시작부터 주목을 받았다. 바이두 51%, 라쿠텐 49%로 피를 섞었고, 북경에 세워진 법인은 러쿠티엔(乐酷天)이라는 쇼핑몰로 2010년 4월 탄생했다. 그런데 이미 그들은 문을 닫고 사업 .. 더보기
[송종선 칼럼] 온라인 쇼핑 사업을 말하다 23 타오바오 小二(실무담당자)의 부패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23] 타오바오 小二(실무담당자)의 부패 요즘 타오바오의 소재지 항주 고급 클럽에 가면 돈 쓰는 사람들은 다 타오바오 小二이라는 농담이 있다. 본 기사 기고 초반에 聚划算(타오바오의 공동구매 서비스)에 대해서 설명한 적이 있다. 작년 한해에만 혼자서 한화 110조쯤 독식한 곳이 타오바오이니, 타오바오에서 진행하는 공동구매 서비스의 위력은 어떠하겠는가. 한 상점을 살리냐, 죽이냐를 가름할 수 있는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지난 3월 타오바오 聚划算의 총경리는 이미 면직당했고, 얼마전 부정당한 이익을 수수한 혐의로 형사구류 당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聚划算 공동구매 코너에 자신의 상품이 올라가면, 하루만에 폭발적인 매출이 날 수도 있기.. 더보기
[송종선 칼럼]중국 온라인 쇼핑을 말한다 22 중국 온라인쇼핑 사업 진입시 체크포인트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22] 중국 온라인쇼핑 사업 진입시 체크포인트 11. 종결 중국 온라인 쇼핑에 진입할 때 체크하고 고려할 사항에 대해 10차에 걸쳐 설명 했다. 일정 기간 어떤 일에 종사해본 사람이라면, 사업의 성공 또는 실패의 결과가, 누가 하느냐? 어떻게 하느냐? 에 달렸다는 것을 알 것이다. 한국에서던 중국에서던 온라인 쇼핑 사업은 진입장벽이 낮아보이지만, 상당히 어려운 사업이고, 보이지 않는 가상의 상점이기에 공짜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라 보이지 않기에 더욱 보이지 않는 적들과 싸워 이겨야 하는 전투의 장이라는 사실을 주지해야 한다. 중국에서 온라인 쇼핑사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반드시 먼저 확인할 것은 1.자사의 상품이 무엇인지? 중국내 생산상품..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21 중국 온라인쇼핑 사업 진입시 체크포인트 10. 모바일에 주목하라 (2) 타오바오에 입점해서 상점이 개설되면, 모바일 매장은 자동으로 생성된다. SIWY의 TMALL 브랜드 매장이라고 가정하면, siwy.tmall.com은 PC기반의 인터넷 전용 매장의 주소가 되는 것이고, 모바일 매장은 siwy.m.tmall.com으로 생성된다. 상점 운영자가 모바일 매장을 구성하거나, 상품을 전시할 수 있도록 별도의 어드민(관리계정)이 제공되기에 이를 통해 얼마나 적극적으로 운영하느냐에 따라 운영수준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다. QR코드를 PC 사이트 화면에 심어, 고객들이 휴대폰에서 스캔하도록 유도하면, 해당 브랜드의 전용 모바일 프로그램을 고객의 모바일 폰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고, 모바일 매장으로 방문을 유도할 수..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20 중국 온라인쇼핑 사업 진입시 체크포인트 9. 모바일에 주목하라 (1) 중국에서 온라인 사업을 진행할 때 주목해야할 부분 중 하나는 모바일 이다. 중국에서 버스나 지하철을 타본 사람이라면, 얼마나 많은 중국의 젊은이들이 스마트폰을 이동중에 사용하는지, 경험만으로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먼저 모바일 사업의 시장규모 상황에 대해 살펴보자. 2011년 한국에서 모바일로 거래된 온라인쇼핑 개인 거래액 2000억원 규모라고 한다. 중국의 규모는 어느정도 될까.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11년 중국에서 온라인을 통해 구매한 쇼핑 거래액은 2조8000억 규모라고 한다. 한국의 10배를 훌쩍 넘는 규모다. 2011년 중국 모바일 쇼핑 거래액은 156.7억원(한화 2.8조) 규모이고 성장율을 보면 609%에 달한다. 201..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19 중국 온라인쇼핑 사업 진입시 체크포인트 8. 마케팅 방안에 대해 고민하라 (2) 앞에서는 타오바오의 광고종류에 대해 설명했다. 타오바오 광고 이외의 몇가지 마케팅툴에 대해 소개한다. 한국에서의 SNS열풍은 중국에서도 존재하고 따라서 당사에서도 중국내 SNS를 연계한 쇼핑몰 마케팅에 주력하고 있고 일정 성과를 내고 있다. 자사의 상품이 타오바오에 있건, 징동상청에서 판매되고 있건 일반적인 인터넷 매체에 자사의 상품을 알리고 광고하고자 한다면 쇼핑몰 이외의 채널에서 마케팅 해야한다. 한국의 네이버 지식인처럼, 중국의 바이두에 자사의 브랜드나 상품을 검색하면 일정 내용으로 홍보를 하고 싶다면 百度 知道 바이두 쯔다오에서 진행하면 된다. 어느정도 규모의 브랜드라면 반드시 진행할 것을 추천한다. 파워블로거를 통해.. 더보기
[송중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18 중국 온라인쇼핑 사업 진입시 체크포인트 8. 마케팅 방안에 대해 고민하라 (1) 필자는 온라인 쇼핑 사업을 한국에서 17년, 중국에서 5년했다. 한, 중간의 경험을 기반으로 얘기하면, 중국 온라인 마케팅에서 놀란 것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과 낮은 효율이다. 따라서 광고비만으로 어떤 성과를 내기에 쉽지 않아 온라인상에서의 운영 능력이 중요하다. 자사의 브랜드가 이름만 대면 알만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라면, 어느 채널에 입점을 해도 환영 받을 것이고, 이런 브랜드가 온라인에 입성한 것 만으로도 화제가 되어 기대이상의 매출을 낼 수도 있다. 불행히도 이런 브랜드나 상품을 가지고 있는 기업은 많지 않으므로 마케팅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마케팅 방안에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먼저 자사의 상점을 광고하는 방..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