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온라인쇼핑

[송종선 칼럼]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7 중국 최대 B2C플랫폼 TMALL 입점 방법(1) TMALL에 입점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이전에는 구비서류를 택배로 보내는 방식이었으나 이제는 신청접수를 온라인에서 받는다. 과정은, TMALL 입점시 비용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1. 보증금 : 입점시 TMALL에 보증금을 납부해야 한다. TMALL규정을 판매자가 위반하는 경우 소비자에게 보상을 하게 되고, 보증금에서 차감할 수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상점 방문시 이 상점의 보증금이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보증금은 중국내 상표권 출원완료 여부(출원중, 출원완료)에 따라 5만원, 10만원, 매장형 플래그샵, 편집샵인 경우 상표권 출원여부와 관계없이 15만원 3종류이다. - 예1) A라는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판매자가 A브랜드 매장을 ..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6 B2C 규모의 괄목 성장 : 규모와 플레이어에 주목 지난 회에서 커져가는 중국 온라인 시장에서 B2C 점유비가 최근 3년새 11%에서 40%까지 괄목할 성장을 하고 있고 이에 따라 소비자들의 수준과 안목도 달라져가고 있음을 설명했다. 10년 1분기부터 지난 12년 3분기 추세를 보면, 초록색의 온라인 전체 성장율은 80~90%대에서 40%대로 감소한 반면, 노란색의 B2C시장 성장율은 여전히 100%를 상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분기 대비 3분기 매출이 좀 주춤한 사유는 다음과 같다. 당당왕(当当网), 쑤닝전자(苏宁易购)를 비롯한 대형 종합쇼핑몰들의 혈투였던 12년 2분기의 경우, 전년 동기대비 142.6% 신장하였으나, 업계에는 큰 타격을 주었다. 지나친 가전 제품군의 가격 경쟁으로 인하여, 소비..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5 B2C 규모의 괄목 성장: 관심 갖고 대응해야 2012년 4분기 전자상거래 시장 정보는 아직 확정데이터가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4분기 추정 데이터는 공개 된 상황이다. 노란색이 B2C 점유비인데, 2010년 1분기 11%에서 시작된 수치가 2012년 3분기에는 35.6%에 이르고, 4분기 추정 데이터는 40%에 달한다. 그러면 C2C와 B2C는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가? C2C는 주로 개인이 점포를 소유하고 있고, 기업도 운영할 수 있다. 온라인상에서 신분증 정보 등 간단한 정보 기입만으로 개설이 가능하고 판매하려는 상품 및 브랜드에 대한 구비서류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따라서 판매자의 ID도 제각각이고, 판매하는 상품군도 상점주가 판매가능한 상품을 올려서 판매만 하면 된다. 또한 C2C의 경우 ..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4 온라인 쇼핑몰의 강점 – 고객관리 온라인 쇼핑몰의 강점 – 고객관리 오프라인 유통에 비해 온라인 유통이 좋은 점은 무엇일까, 무척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장점은, 고객 관리일 것이다. 주문한 물품을 받아야 하므로,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정확한 주소와 전화번호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오프라인의 경우 여러 차례 와서 구매를 한 고객이라고 하더라도, 회원가입이나 정보를 남기지 않으면 그 고객에 대하여 알 방법이 없지만, 온라인에서는 이 고객이 어느 주기로, 언제 방문해서 어떤 상품을 구매했는지 분석이 가능하다. 중국내 최대 플랫폼 天猫tmall.com에서 판매하고 있는 많은 상점들도, 각자 브랜드에 적합한 고객 관리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TMALL에서는 보통회원, 고급회..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3 天猫TMAL 张勇총재가 말하는 双十一(11월11일) 이벤트 분석(2) 2012년 11월 11일 타오바오 1일 매출액 191억원(한화 약 3.8조) 성공 신화 다음의 데이터를 보면 중국의 인터넷 온라인 쇼핑의 발전추세와 거대한 잠재력에 대하여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온라인 쇼핑이 사회전체소매소비액(社会商品零售总额)대비 비율 입니다. 08년 1.2%에서부터 큰 폭으로 올라 2011년 4.3%이었는데, 双十一당일은 30%에 달하는 수치를 보였습니다. 이것을 기적입니다. 우리는 이 수치가 몇 년 후에는 연간수치가 될 수 있다고 믿습니다. 중국의 소비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데, 온라인 쇼핑의 성장속도가 그 속도를 추월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음으로 상점들의 매출액에 대하여 얘기하겠습니다. 이벤트 시..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2 天猫TMAL 张勇총재가 말하는 11.11.双十一 이벤트 분석(1) 2012년 11월 11일 타오바오 1일 매출액 191억원(한화 약 3.8조) 성공 신화 2009년 11월 11일은 첫번째 双十一 이벤트 날 이었어요. 시작했던 이유는 간단했습니다. 소비자들에게 타오바오 상청을 알리고 싶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왜 11월 11일이었는가 하면, 10월 1일은 황금 국경절이고, 12월 25일은 크리스마스 대목인데, 그 중간에 있는 11월은 애매한 비수기이거든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11월은 나름 수요가 많은 때입니다. 겨울 이불을 사야한다던가, 겨울을 대비한 가전용품이라던가요. 그런데 그에 비해 상응하는 이벤트가 없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11월 11일을 선택하고 솔로데이를 활용하여 双十一명절이 만들어..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1 3분기, 모바일 쇼핑 거래액 156.4억원, 전년 동기대비 4배 성장 모바일 쇼핑 거래액의 성장폭이 매우 크다. 거래액은 3분기 156.4억원, 전년 동기대비 401.3% 성장폭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전체 쇼핑 거래액 대비 점유비도 5.5%에 달했다.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 업체인 타오바오 모바일이 75.2%, 징둥상청이 5.2%, 텅쉰(QQ)쇼핑몰이 3.6%로서, 모바일 영역에서도 타오바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2011년 대부분의 쇼핑 업체들이 모바일 사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한 이후, 성장을 견인한 사유로는, 3G환경의 보편적 보급 및 스마트폰 사용자의 급격한 확대를 들 수 있고, 이 사용자들이 점차 모바일에서의 구매경험이 누적됨에 따라 그 증가속도는 더욱 탄력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2012년 3분기..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30 한국 대표 브랜드 중국 온라인 진출 가속화 2 BNX, STCO,키스리퍼블릭,온앤온 지난 회에 이에 가속화되어 가고 있는 한국 대표브랜드들의 중국 온라인 진출 상황을 살펴보자 중국 진출한지 10년이 훌쩍 넘은 보끄러머천다이징의 온앤온과, 더블유닷은 TMALL에 진출한지 이미 2년이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며 자체적인 독립 旗舰店(플래그샵, http://fklfs.tmall.com) 이외에도 타오바오 한국관(korea.tmall.com) 등 기타 쇼핑몰 채널에서도 판매를 전개하고 있다. 한국 패션 기업 AVISTA의 BNX도 이미 TMALL에서 판매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트랜드와 개성있는 스타일로 중국에서도 고정고객을 확보하고 있고, 온라인 판매를 통해 중국 타켓 고객층을 늘려가고 있..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29 한국 대표 브랜드 중국 온라인 진출 가속화 1 BEANPOLE, RAPIDO, EXR 작년 중국 온라인쇼핑몰을 통해 소비자가 구매한 금액은 한국돈 기준으로 140조. 2012년 올 해 추정 하고 있는 매출액은 약 200조 수준이다. 이렇게 큰 규모로 성장해가고 있는 중국 온라인쇼핑 시장을 겨냥하여 발빠른 전략을 구사하는 한국 기업들이 증가 추세에 있다. 제일모직의 대표적인 국민 브랜드 빈폴 BEANPOLE은 지난 9월 1일자로 TMALL에 독립적인 매장을 개설했다. 제일모직의 빈폴은, 여성복, 남성복, 아동복, 액세서리(가방 및 잡화), 아웃도어 상품군을 모두 판매하고 있다. 빈폴은 일반적으로 오프라인 매장들이 온라인에 진입시 단순히 재고 상품만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하여, 전향적으로 신상품도 40.. 더보기
[송종선 칼럼] 중국 온라인쇼핑을 말한다 28 에스떼로더 아이크림 1위, 라네즈 수분크림 9위 앞에 연재한 기사에도 언급했듯이, 20대의 여성들에겐 화장품을 구매하는 채널이 1위 오프라인 편집샵, 뒤를 이어 2위 채널로서 인터넷쇼핑몰이 급부상 했고, 이 추세가 변경될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인터넷 상에서 관련 정보를 얻고, 사용 후기와, 사용 방법 등의 다양한 정보를 접한 후, 가장 좋은 가격과 조건을 제시하는 업체에서 구매하는 방식이 소비자 입장에서 편리하기 때문이다. 모든 시장의 원리는 고객이 편한 곳으로 흐르기 마련이고, 인터넷으로 이동되는 시장의 흐름은 이변이 없는한 지속될 것이 분명하다. 지난 2012년 2분기 BEST 판매상품 1위. 2위는 EsteeLauder 아이크림과 에센스였다. 두제품 합산 매출액은 약 5900만위안. 두 제품으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