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상해 출장에서 느끼는 점 몇가지.
A few notable things I realize so far during this Shanghai trip. (May 2013)
신세계가 열리고 있다. 한국에서 비행기로 1시간50분 거리에 있는 곳에서. 10-20년후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장으로 성장하는 중국에 대해 우리는 잘 준비하고 있는가?
People’s Square in Shanghai. China will become the world’s biggest market in a few years – are we well-prepared for this paradigm shift?
Tuesday 28 May
1. 상하이의 경제 중심지로 역할 – 아직 100년전 아시아와 세계 경제 중심지의 역할을 다시 찾으려면 조금 시간이 걸리지만 그 방향성에는 틀림없다. 엄청난수의 외국기업들이 밀려들어온다. 거리에 외국인이 넘쳐난다. 북경대학에서 공부할때와 골드만 싱가폴에서 일하며 상해에 몃번 왔었지만 이번에 매우 놀랐다.
1. Shanghai as the financial center of Asia- it’s going to take awhile to regain the status it claimed a century ago but the trend is very clear. I’ve been surprised by the number of foreign companies setting up operations here recently. A few things will have to change such as legal infrastructure, government regulation, investment rules but because of its proximity to the domestic market, Shanghai will take away substantial marketshare from other financial centers in Asia.
My favorite part of Shanghai – a beautiful area full of history. The Bund 外滩 is a waterfront area in central Shanghai. It is one of the most famous tourist destinations in Shanghai. Building heights are restricted in this area. The area centres on a section of Zhongshan Road within the former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The Shanghai International Settlement began originally as a purely British settlement. It was one of the original five treaty ports which were established under the terms of the Treaty of Nanking at the end of the first opium war in the year 1842.
http://en.wikipedia.org/wiki/The_Bund
http://en.wikipedia.org/wiki/Shanghai_International_Settlement
2. 중국시장의 변곡점: 제조, 물류, 서비스 다양한분야에서 혁신과 창의력에 대한 욕구와 니즈가 분명하다. 더 빨리 더 싸게의 전략은 지난 10년전의 얘기이고 중국인들의 학습 속도는 상당히 빠르다. 어마어마한 내수시장과 합쳐지면 이제 10년안에 일본, 한국, 싱가폴 기업들은 경쟁하기 매우 힘들듯. 더 빨리 달리던지, 현지 기업들과 경쟁에서 이겨서 중국시장을 업고 뛰던지, 아예 다른 길로 가야할듯하다.
2. Inflection point in Chinese economy: I see enormous amount of needs and wants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various aspects of Chinese economy. They are not just thinking about cheaper, better, faster these days. They have learned a lot in the past 10 years. Be it manufacturing, logistics or services. Based its natural advantage over massive domestic market, they will have much greater leverage when it comes to global competition. Other foreign companies (e.g., Korean, Japanese, Singapore companies) will have very difficult time competing with Chinese companies in the next 10 years. Either outpace them somehow globally, dominate them within local Chinese market or take completely different strategic direction, I’d suggest.
Nanjing Road is the main shopping street of Shanghai, China, and is one of the world’s busiest shopping streets. It is named after the city of Nanjing, capital of Jiangsu province neighbouring Shanghai. – Wikipedia
3. 세련되어지고있다. 정치의 중심인 북경과는 다르게 중국 최대 상업도시임으로 물론 가장 유행에 앞서간다. 4년전 2009년에 처음 방문했을때와 지금의 상하이는 매우 다르다. 이 큰 도시가 5년도 안되어 느낄 수 있을정도로 달라진건 대단한거다. 도로, 패션, 레스토랑, 쇼핑몰 여러 부분에서 이미 싱가폴, 홍콩을 따라 잡은듯하고 스케일면에서는 아시아 1-2등이다. IKEA 상하이는 이미 세계에서 규모 2등. Apple store Beijing and Shanghai 아시아에서 1-2등. 가는곳 마다 사람들이 넘쳐난다. 부자들은 이미 돈이 많기 때문에 “외형”적으로는 벌써 홍콩, 싱가폴을 넘어서는듯하다. “내적”인 소프트웨어면에서는 아직 못 따라가지만 그건 긴 얘기니 다음번에.
3. Everything is getting fashionable. Compared to my experience living in Beijing (political center of China) Shanghai (economic center of China) always leads the trend in China and offers much better environment for foreigners to work and live. In the last 4 years since my last trip to Shanghai in 2009, Shanghai has drastically changed in multiple fronts – automobiles, fashion, restaurant quality, shopping malls. Scale wise, many stores in Beijing or Shanghai already claim the world’s #1 or #2 status. I found quality of service is just as good as Hong Kong or Singapore if not better when speaking to them in Mandarin Chinese.
Saturday 1 June
4. Beautiful sunrise can make me wake up at 5:30AM! 아름다운 일출과 풍경은 나를 아침 5시반에도 일어나게한다! (매번 아침 운동해야겠다고 다짐하지만 한적은 별로 없는 나에겐 신기한일!)
Click to see it in full screen. Enjoy! 클릭하면 더 크게 볼 수 있어요. 바다 냄새, 파도 소리와 같이 봐야 제 맛인데 아쉽지만 그래도!
5. Expect something to go wrong with flights in China. I have heard some horror stories from my friends who frequently travel from Hong Kong to cities in China but I’ve had relatively ok experience with flying in and out of China. Maybe I was under less time constraint because I was student back then or on personal travel. This time on the way to Shenzhen and back to Shanghai, the flights were either delayed or just completely broken down and left all the passengers with extremely bad customer service.
Got me thinking, am I just spoiled after living in Singapore, Japan and Korea? Is this the “average” airline service? I remember the US airlines are usually terrible as well. But some of the budget airlines like AirAsia (Malaysian) or JetStar that operate in South East Asia are generally on time so what is exactly wrong with these Chinese and American flights?
중국에서 타는 비행기는 일정처럼 정시에 출발과 도착을 않할거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는게 편하다. 시간이 많았던 학생때나 개인적인 여행할때는 괜찮은데 이번엔 일정이 타이트하게 다니다 보니 비행기가 늦어버리거나 고장이 나서 아주 불친절한 고객서비스를 받게되면 침착하게 대응하기가 쉽지않다. 안그래도 중국어로 하면 싸우는것 같이 들리는데 정말 화가나면 조용하게 얘기하기는 어렵다.
심천에서 상하이 오는데 동방항공 비행기 고장났다고 1시간 줄서있다가 선전항공을 티켓끈어줘서 아예 다른 비행기 타고옴. 다른 사람들은 그 다음다음 비행기를 타서 아마 5시간 넘게 기다린듯하다. 근데 체크인 카운터에서 미안하다는말도 안하고 “비행기 고장났다니까! 절로 가서 줄서있어!” 소리쳐서 아무 소리 못하고 내가 기다렸다가 공손하게 “상하이에 12시까지는 도착해야하니까 도와주세요”하고 부탁함.
오늘 비행기 타고 오면서 깨끗하고, 친절하고 제 시간에 떠나거나, 안 떠나도 말로라도 매우 죄송하다고 하는 대한항공과 아시아나의 아름다운 서비스 정신에 다시 한번 감사.
Waiting for a flight from Shanghai to Shenzhen. The flight got delayed by an hour. The flight from Shenzhen to Shanghai was delayed.
China Eastern flight from Shenzhen to Shanghai 9:30AM was “broken” and asked all of its passengers (150 -200 people) to go to a counter manned by 1 person(!) to change flights or get refunded. The whole line would have taken longer than 45 minutes to go through. I must have arrived in Shanghai by noon so I managed to get another flight. The customer service of China Eastern was not very helpful.
My first time taking Shenzhen Airlines – very interesting experience…
6. The bullet trains in China are just awesome – cheap, fast and on time. From Hangzhou to Shanghai, it took only an hour and CNY 77.5 (= USD 13) ! I took a car on the way from Shanghai to Hangzhou and it took 2.5 hours and a ton of highway fees on the way to get there.
I remember back in 2008 before Beijing olympics riding the first bullet train between Tianjin and Beijing. It was amazing that I was able to travel at 330km/hr between two cities which took more than 3 hours by car due to heavy traffic jam on the way. China certainly has stepped up its game to build these wide networks of bullet trains all over the country.
중국의 고속기차는 좋다 – 싸고, 빠르고, 시간이 정확하다. 항주에서 상하이까지 1시간만에 도착하였고 가격도 1만5천원정도. 아침에 상하이에서 항주에 갈때는 자가용으로 갔고 2시간반 이상 걸린듯하고 고속도로 이용료도 자주 냈던걸로 기억된다. 항주의 교통체증이 상하이보다 심하다고 하니 비행기, 자동차가 예측하기 힘들다면 기차가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잘 하고 있는듯하다.
Train ticket from Hangzhou to Shanghai and my Nongfu Spring water!
7. China is still a land of opportunity despite its slowing growth rate from above 10%/year to now around 7%/year. There will be different set of opportunities for the next few decades – for those who are ready and capable of riding the growth and change in Chinese economy and society.
중국은 아직도 그리고 앞으로도 기회의 땅이다 – 다만 중국 경제와 사회가 빠르게 변하고 있기때문에 그에 따른 준비가 되어있고 이 큰 물결을 타고 즐겁게 한번 항해를 떠날 수 있는 자들에게만 해당된다
View of Shenzhen on the way to Shanghai this morning. Can you imagine this part of China was nothing but small fishing town just 30 years ago? Amazing to see what a country can do in 30 years – it took one visionary leader to reset the direction and everything is now history. I see tremendous amount of opportunity in China for the next 30 years.
View of Shenzhen on the way to Shanghai this morning. 30년전 이곳이 아무것도 없는 작은 어촌이었다면 믿겨지는가? 앞으로 30년동안 이땅에서 일어날 기적들이 기대된다. 한명의 깨어있는 리더의 영향이 이러한 모든것을 가능게 한다.
8. Have to further improve my Chinese. Business Chinese has been challenging for me in a few reasons:
I did not speak much of Chinese since leaving China in 2009 and for the past three years, I was mainly living and working in non-Chinese speaking environment such as Japan, Singapore and the US.
Business Chinese is difficult in a sense that I do not know many industry specific words so I will need to spend time learning and remembering them. I will spend every day reading Chinese newspaper out loud for at least 30 minutes!
중국어 특히 비지니스 중국어를 다시 열심히 해야겠다. 대학교때 경영학과 중국어를 같이 공부하였고 북경대학교에서 1년 교환학생을 하며 일반 생활 대화에는 무리가 없지만 비지니스 미팅할때는 어려운 점이 두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북경을 떠나고 주로 일본, 싱가폴, 미국에서 일하며 중국어 실력이 줄었다. 상하이에 와서 며칠 지나니 70%이상은 금방 돌아오는것 같지만 예전같지 않다.
두번째는 아무래도 사업분야별로 쓰는 단어들이 다르다보니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모를 수 밖에 없다. 한가지 방법으로 내가 영어 말하기, 어휘 실력을 늘리기 위해 했던 방법인데 경제신문을 하루에 30분이상 소리내서 매일 읽기로 하려한다. 쉽진않겠지만 어쩔 수 없다.
칼럼니스트 권혁태
캐나다 퀸즈대학과 중국 북경대학에서 경영학과 중국어를 공부했다. 졸업 후 골드만삭스 도쿄 및 싱가폴에서 근무하였으며 2008년부터 Business Tianjin 이라는 중국경제잡지에 글로벌 경제와 중국경제 현황에 대하여 매월 영어로 글을 기고하고 있다. 세계 여러나라 여행을 다니며 현지의 문화,역사,음식,사람들과 마주하여 느끼는 것을 글로 담아내기를 즐기며, 특히 최근에는 급현하는 중국의 변화에 주시하고 있다.
(현재 Fackbook 페이지 Hyuktae’s Memo Board 및 개인 블로그 운영중 http://hyuktae.wordpress.com)
'중국 사회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혁태 칼럼] 상하이 장기출장을 통해 느끼는 몇가지 (0) | 2014.01.15 |
---|---|
[신동원 칼럼] 직장인도 중국형 인재로 거듭나라 (0) | 2013.12.28 |
[신동원 칼럼] 중국에서 MBA를 해야 하는 몇 가지 이유 (0) | 2013.12.06 |
[신동원 칼럼] 합법과 불법, 그 사이의 위험한 변주곡 (0) | 2013.11.22 |
[신동원 칼럼] 자녀에게 중국어를 꼭 시켜야 하는 이유 (0) | 2013.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