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 모바일
○ 中 모바일인터넷 사용자 5.72억명으로 PC추월해(weeklytrade.co.kr)
- 중국인터넷정보센터(CNNIC)가 발표한 제34차 ‘중국 인터넷 발전 현황 통계 보고서’ 에 따르면, 상반기 기준 중국의 네티즌은 6억 3200만명, 모바일 네티즌은 5억 2700만명으로 전체 네티즌 중 모바일 사용률이 83.4%를 기록하면서 PC사용률인 80.9%를 처음으로 추월했다고 밝힘
- 올해 6월 기준 중국 네티즌은 6억 3200만명으로 작년 말 대비 1442만명 증가했고 인터넷 보급률은 46.9%로 1.1%p 증가폭을 보임
○ 마이크로소프트, 프리뷰 버전 Windows9 공개될 것으로 보여(sohu.com)
- 8월 22일, IT 매체 '테크레이더'(Techradar)는 "윈도우즈9 브리뷰 버전을 이르면 9월30일 만날 수 있을 것"이라며 "윈도우즈8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이 좋지 않아 MS가 공개 예정일을 앞당긴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음
- 윈도우즈9은 기존 윈도우즈8의 문제점을 보완한 여러 업그레이드가 기대되고 있음. 더 강력해진 시작 메뉴와 새로운 부팅 방식, 음성인식 서비스 '코타나' 등이 적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음. 또 태블릿 등 터치스크린 특성에 맞는 기능들이 대거 탑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모바일게임
○ 샤오미(小米)와 우야(Ouya) 합작해, 중국시장 진출 할 것으로 보여(gamelook)
- 9월 22일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미국 비디오게임 서비스 스타트업 우야(Ouya)는 샤오미 스마트TV와 스트리밍박스 등을 통해 중국에 게임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힘
- 중국 스마트폰 업계 1위인 샤오미는 지난해 스마트기기 '미TV' '미박스'를 내놓았음
- 우야 최고경영자(CEO) 줄리 어만은 "우야는 샤오미 기기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에서 전용 채널을 배정받게 된다"며 "샤오미는 중국 내 마케팅을 담당할 예정"이라고 발표하였고, 또 "최근 급성장하는 중국 게임 시장 진출은 우야와 샤오미 양측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음
○ 향후 5년, 모바일게임 시장 복합적으로 11.8% 성장할 것으로 보여(gamelook)
- 중국 모바일게임 시장 업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모바일게임 유저가 급증해 이미 전체 인터넷 유저의 50%이상의 비중을 차지 한다고 밝힘
-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부터 2013년 까지 모바일 게임 결제 유저는 급증해 매년 7%에서 15% 까지 꾸준히 성장한 바 있어 모바일 게임 시장의 발전이 기대됨
- 스마트폰, 4G 그리고 와이파이 속도의 발전 등은 향후 5년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을 성장시키는 복합적으로 성장시킬 요소로 꼽히고 있으며 성장률은 11.8% 가 될 것으로 보임
창업/벤처
○ <超级课程表>(슈퍼일정표) B라운드 천만달러 융자완료, 알리바바그룹 등 선도 투자(36kr)
- <超级课程表>의 CEO 余佳文이 B라운드에서 천만달러 투자완료했다고 발표
- <超级课程表>는 대학시스템과 연결하여 대학생이 스케줄 만들고 손쉽게 폰으로 도입하게 해주는 앱임. 현재 유저수가 1000만명 돌파하였으며 DAU는 200만이 달한 것으로 집계됨.
- 올해 연초부터 6월까지 토탈검색횟수는 17억 기록하였으며, 앱내에 있는 “下课聊”채팅기능도 현재 중국대학에서 가장 많이 쓰는 앱으로 성정
○ UGC게임동영상 커뮤니티 “爱拍原创”이 3800만 달러 C라운드 투자완료 발표(36kr)
- “爱拍原创”은 2009년도에 설립되었으며, UGC게임동영상 커뮤니티에서 주된 컨텐츠는 게임해설과 엔터테인먼트류가 포함되어 있음.
- 현재 DAU 천만명, MAU 5천만명 도달한 것으로 발표. 현재 모바일게임 분야에 주력하고 있음.
사회/문화
○ 시진핑 몽골서 정상회담, 양국관계 격상 합의(xinhuanet)
- 각국 정상은 어제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가진 정상회담 뒤 양국이 전면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수립하는 내용의 공동선언을 채택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음
- 두나라는 공동선언으로 독립과 주권, 영토 안정에 대한 서로의 존중과 내정 불간섭의 원칙에 따라 상대국의 주권과 안보를 침해하는 어떤 동맹이나 단체에도 가입하지 않기로 함
- 또, 제3국이 자국의 영토를 이용해 상대국을 겨냥한 주권 훼손을 하는 것을 불허한다는 내용도 공동선언에 담겼음
출처 : 네오위즈차이나 조일수 작성
'중국 IT인터넷 모바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혁태 칼럼] Taobao Shopping Experience 淘宝-终于试过了! (0) | 2014.10.29 |
---|---|
[권혁태 칼럼] China blocks Dropbox and we switched over to Baidu cloud (0) | 2014.10.15 |
[신동원 칼럼] 샤오미에 밀린 삼성의 교훈 (0) | 2014.08.18 |
미국 경제전문지 포춘 2004년 중국 500대 기업 순위 발표 (0) | 2014.07.29 |
[권혁태 칼럼][Chinese/English] Taobao Shopping Experience (0) | 2014.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