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중국 경제금융

[전병서 칼럼] 중국이 세계1위를 거부하는 까닭

- 중산층 양성 10년대계 본격화-

중국이 세계1위를 거부하는 까닭

과연 2014년이 중국의 세기개막을 선포하는 원년으로 기록될 것인가? 세계은행과 파이낸셜타임즈 등은 미국이 경제규모 1등자리를 140년만에 내어 줄 것이라고 보는데 정작 중국은 거부한다. 더욱 큰 실리를 겨냥했기 때문이다.

 

 

계은행이 구매력기준(PPP)기준으로 2014년에 중국이 미국의 GDP를 뛰어 넘어 세계1위를 할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다. 중국은 2010년부터 경제지표에서 세계 신기록을 갈아 치우기 시작했다. 지금 중국은 무역규모, 철강생산량, 자동차생산량, 외환보유고, 고등교육규모에서 세계 1위이고 인구는 미국의 4배가 넘는다. 그러자 중국에 대한 서방세계의 시각은 시시각각으로 변했다. 중국 붕괴론에서 중국 위협론으로 그리고 금융위기 이후에는 중국 제일론(第一)”으로 바뀌었다.

 

 

PPP란 상품과 서비스 가격 등 실제 생활비용을 고려해 경제규모를 환산한 것이다. 2005년 이후 6년 만에 발표된 세계은행의 국제비교(ICP)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 중국의 PPP 기준 국내총생산(GDP)은 미국 GDP 87% 수준 이다. 20112014년 기간 중 중국이 24%, 미국이 7.6% 성장할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전망치를 2011GDP에 적용해 계산해 중국이 올해 말 미국을 따라잡을 것으로 추정한 것이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이코노미스트는 미국이 1872년부터 140년 넘게 수성해온 세계 경제규모 1위 자리를 올해 말 중국에 내줄 것이라는 전망을 실었다. 이코노미스트는올해 말 미국의 세기가 끝나고 태평양 시대가 시작된다고 바람을 잡았지만 정작 당사자인 중국은 연구 방법상 문제를 지적하면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중국은 ICP 보고서를공식 통계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뜻을 세계은행에 전했다고 AP통신이 보도했다.  

 

 

 

 

 

 

총량 초강대, 1인당은 개도국 번뇌

 

중국은 세계경제규모 2위인 G2, 세계 억만 장자 수 2위인 부자들의 나라인 것도 맞고 구매력평가(PPP)기준 GDP 214년에 미국을 제치고 세계 1위가 될 것이라는 세계은행의 예측도 맞다. 구매력평가기준 전세계GDP90.6조달러인 반면 환율기준 GDP70.2조달러에 그친다. 햄버거 하나를 사는데 미국에서는 4달러인데 중국에서는 1.78달러다. 따라서 세계GDP는 구매력기준으로는 환율기준보다 29% 더 커지고 햄버거 지수로는 중국의 GDP는 환율기준보다 125%나 더 커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은 환율기준이든 구매력기준이든 총량으로는 세계 1,2위인지 모르지만 1인당으로는 여전히 개도국이다. 2013년 기준으로 1인당 GDP6,569달러로 세계 87위 수준이고 1인당 구매력은 99위 수준의 13.6억명의 가난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개발도상국이다. 그러나 1인당의 숫자에 세계 인구 20%라는 곱셈을 하면 뭐든 세계 1, 2위인 것이다. 그래서 중국은 대국의 번뇌개도국의 고민을 함께 품고 있는 셈이다.

 

 

 

 

 

‘중국의 꿈(国梦)’완성 겨냥 몸 낮춘 시진핑

 

시진핑의 국정 어젠다인  ‘중국의 꿈(国梦)’은 10년 임기 내에 중국을 경제적으로 G1의 반열에 올려 놓겠다는 야심 찬 계획이다. 미국의 54%선인 중국의GDP를 매년 7.2%10년간 성장시키면 10년뒤에 GDP는 두 배가 되고 미국의 성장률 2-3%만큼 매년 위안화를 절상시키면 10년뒤 중국의 GDP는 미국의 GDP를 넘어선다. 시진핑이 후진타오시대 연평균 10.7%대보다 낮은 7%대의 성장을 목표로 하는 데는 이런 자신감이 배경에 있다.

 

 

지금 중국은 미국의 절반 정도의 GDP수준에서 세계 주요 광물자원을 40-47%를 소비하고 석유와 곡물도 10-30%를 소비한다. 만약 두 자리 수 성장을 지속하면 멀지 않은 장래에 중국은 전세계와 자원전쟁을 피할 수 없다. 이것이 새 지도자 시진핑이 두 자리수가 아닌 7%대로 성장목표를 낮춘 이유다.

 

 

‘하버드 박사’보다 더 똑똑한 건 ‘구리 박사’이고 구리 박사보다 더 똑똑한 것은 ‘돈 박사’이다. 세상에서 가장 현명하고 똑똑하고 동작 빠른 것이 돈이다. 세상의 돈을 주무르는 〈포춘〉 500대 기업이 가장 똑똑하다. 전 세계 명문대의 MBA는 물론 DBA들까지 모두 이들 기업에서 죽어라 일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 전 세계에서 〈포춘〉 500대 기업이 하나도 빠짐없이 떼로 몰려가는 나라가 있을까? 중국이 유일하다. 돈은 거지를 싫어하고 부자를 좋아한다. 역사를 보면 황금이 향하는 곳이 항상 패권이 가는 곳이었다. 지금 전 세계의 황금이 중국으로 몰리고 있다.

 

 

 

 

 

 

포춘 500대기업 벌떼 몰리듯 하는 나라

 

숨 고르기 하는 중국의 다음 단계를 주목해야 한다. 10년에 GDP 2배가 되는 성장률을 경착륙과 버블의 붕괴 조짐이라고 보기보다는 7%대의 중속(中速) 성장으로 낮추면서 기존의 미국, 유럽과 다른 성장모형을 추구하려는 중국을 주시해야 한다. 방향 전환하는 중국을 예전의 시각으로 보면 안 된다.

 

 

중국은 투자와 수출의 단순한 증가만으로도 30년간 연평균 10%대의 두 자릿수 성장을 했고 G2로 올라섰다. 이런 중국이 더 이상 수출을 GDP보다 높게 가져가지 않겠다고 천명했다. 2014년 중국은 수출 목표를 GDP 목표와 같은 7.5% 내외로 발표했다. 과거 매년 2030%의 증가로 중국 경제의 성장 엔진으로 작용했던 투자도 이젠 소비와 내수를 진작시키는 데 필요한 동반자 정도로 격하시켰다. 과도한 저축을 통한 투자를 줄여 소비를 늘리겠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이 최근 30년간 지속해온 수출과 투자 중심의 성장 패러다임을 바꾸었기 때문이다.

 

 

강대국의 힘은 중산층의 힘이다. 중국은 최근 30년간 부자는 만들었지만 중산층은 만들지 못했다. 신형도시화를 통한 거대한 중산층 육성 프로젝트가 향후 10년간 진행된다. 당장 2020년까지 1억 명 농촌인구를 도시인화하고, 1억 명 중서부 농촌인구를 중소도시로 이전시키고, 1억 채의 노후주택을 개량한다. 필요한 자금은 금융시장에서 조달할 예정이다. 신형도시화의 달성은 금융과 토지, 사람의 3대 개혁을 통해 이룬다.

 

 

 

 

 

중국 제2도약 진로와 성패에 주목해야

 

중국의 경우 최근 30년간 환경문제, 먹거리 안전 문제가 심각했지만 성장만 한다면, 수출만 한다면, 돈만 번다면 뭐든지 허용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이번 베이징의 대기오염, 독 스모그 사태가 중국 최고지도자에서 일반 국민까지 의식을 확 바꾸어 놓았다.

 

 

‘경제의 논리’가 더 이상 ‘생명의 논리’를 짓밟는 상황이 없어진 것이다. 최근 30년간의 G2로의 화려한 부상은 결국 최고지도자에서 일반 국민까지 공평하게 자신의 폐와 생명을 담보로 이룬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이다. 공해는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적용되는 공산주의 원리가 그대로 적용된 때문이다.

 

 

지금 중국을 읽는 단어 단 하나를 고르라면 ‘변화’이다. 중국 지도부의 변화, 정책의 변화, 국민 의식의 변화, 성장전략의 변화다. 최근 30년간의 성장과는 다른 변화이고, 이는 지난 30년의 모델과의 단절을 뜻한다. G2 G1이 되기 위한 전 단계로 G1.5에서 벌어지는 개혁과 변화에는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새로운 시장, 새로운 돈벌이가 대거 등장한다. , 그 기회는 중국의 변화가 눈에 보이는 사람, 기업, 국가에게만 주어진다.